암호화폐 Crypto

6-2. 비트코인과 메이저 알트코인, 코린이 필독! 전세계의 모든 코인을 섹터별로 알아보자! (마이너알트코인편) ft. 스캠사기, 스캠코인

togetheryoon 2021. 5. 21. 22:39

마이너 코인이란,

코인에는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정해둔 등급이 있다.

우선 시가총액이 높은 것을 메이저코인

메이저 코인들을 제외한, 시가총액과 가격이 낮은 코인들을 마이너코인이라고 한다.

 

1분 1초마다 달라지는 코인시장답게

코인의 시가총액은 시시각각 날마다 달라진다.

때문에 시가총액의 순위는 자주 변동이 생기는 편이다.

 

마이너 코인은 코인 자체의 가격이 낮기 때문에

한번 떡상하게 되면 큰 이익을 남길 수 있으나

반대로 창업주가 코인을 포기하여 스캠사기에 당할 위험이 있다.

 

스캠은 초급, 중급, 고급 스캠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초급스캠은 사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져 투자금을 받고 잠적하는 스캠,

중급스캠은 사기를 목적으로 만들어 투자금을 모아 거래소에 상장을 한 후 자신의 코인을 팔고 잠적하는 스캠,

고급스캠은 열심히 개발을 하지만 결국 개발을 포기하게 된 스캠

을 말한다.

 

현재 암호화폐시장에 상장된 코인 중 90%는 고급스캠 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캠코인들은

 코인으로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솔깃하여

노후를 준비하려고 하는 중장년층이 걸리기 쉽다는 통계자료가 있기도 하며

20,30대도 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캠사기에 당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희해야겠다.

 

그러니 코인 투자를 할 때는 

1. 코인에 대한 공부 (코인 백서, 로드맵, 개발자, 운영진 등 알아보기)

2. 코인 시장에 대한 공부 (코인시장의 전망 등)

3. 나의 자산에 대한 공부 (현재의 상황 자각)

4. 돈에 대한 마음가짐에 대한 공부 (마인드 컨트롤, 자기 객관화)

가 철저히 이루어진 뒤 하자.

그럼 메이저를 제외한 코인들을 알아보자,

우선 마이너 코인의 종류는 너무 많고

다 소개할 수 없기 때문에

준 메이저 코인들을 섹터별로 분류하면서 소개해보겠다.

여기서 섹터란?

비슷한 코인들끼리 묶는 것을 섹터라고 표현한다.

쓰임새가 비슷한 코인 별로 섹터를 묶기도 하고

창립자의 국적에 따라 섹터를 묶기도 한다.

 

대장격 코인의 가격이 오르면

섹터에 있는 다른 코인들도 영향을 받아

덩달아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비트코인 계열>

- 비트코인(bitcoin)


-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

- 비트코인골드(bitcoin gold)

- 라이트코인(Litecoin)


- 옴니레이어(마스터코인)(Omni Layer, Mastercoin) :


<이더리움 계열>

- 이더리움(ethereum)

-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

- 비트셰어(BitShares)

- 카르다노(Cardano) 또는 에이다(ADA)

- 제로엑스(0x)

- 오에스티(OST)



<리플계열>

- 리플(ripple)

- 스텔라루멘(XLM)

- 나노코인(Nanocoin)

 


<디파이코인>

이더리움, 유니스왑 ,트론, 폴카닷, 체인링크, 에이브, 세미토큰 테라, 다이코인, 연 파이낸스, 스와이프 , 저스트 등


<did코인>

메타디움, 아이콘 , 바이오패스포트 , 온톨로지, 메디블록, 피르마체인, 람다 , 휴먼스케이프 등등


<nft코인>

쎄타토큰 칠리즈 엔진 디센트럴랜드 플로우 왁스


<다크코인> 

- 모네로(Monero)

 

- 대시(Dash)

- 지캐시(ZCash) 또는 제트캐시

- 코모도(Komodo)

- 버지(Verge)

- 바이트코인(Bytecoin)


<플랫폼 코인>

- 이오스(EOS)

- 리스크(Lisk)


- 아크(Ark)

- 웨이브즈(Waves)

- 아이오타(IOTA)

- 이오스트(IOST)


- 넴(NEM)

- 스트라티스(Stratis)

- 테조스(Tezos)

- 하이퍼캐시(Hcash)

- 네뷸러스(Nebulas)

- 디크레드(Decred) 또는 디크리드

- 애터니티(Aeternity)

- 에스디체인(SDchain)

- 아이온(AION)

- 마켓피크(PEAK)

- BOSAGORA(BOA)


<유틸리티 토큰>

- 스팀(steem)

- 오미세고(OmiseGo)

- 시아코인(Siacoin)

- 골렘(Golem)

- 디피니티(Dfinity)

- 파퓰러스(Populous)

- 파워렛저(PowerLedger)

- 이머코인(Emercoin)

- 디지바이트(DigiByte)

- 시빅(Civic)

- 기프토(Gifto)

- 어거(Augur)

- 왁스(Wax)

- 체인링크(Chainlink)

- 트라도브(Tradove)

- 에토스(Ethos)

- 링크코인(Link Coin)

- 코박토큰(Cobak Token)

 


<스테이블 코인>

- 테더 (Tether, 텐더, USDT)

- True USD(트루USD, TUSD)

- 제미니달러(Gemini Dollar)

- 스팀달러 (Steem Dollars)

- 테라(Terra)

- 앵커토큰(ANKR)

- 리브라(Libra) (=디엠, diem)


<결제 코인>

- 크립토닷컴

- 텐엑스(TenX)

- 펀디엑스(Pundi X)

- 퓨즈엑스(FuzeX)

- 다빈치코인(Davinci Coin)

- 유비코인(UBcoin)

- WPLUS(WPLUS)


<중국코인>

- 네오(NEO)

- 큐텀(QTUM) 또는 퀀텀(Quantum)

- 트론(Tron)

- 바이텀(Bytom)

- 온톨로지(Ontology)

- 엘프(Aelf)

- 비체인(VeChain)

- 지엑스체인(GXChain)

- 루프링(Loopring)

- 유토큰(YOU token)

- 월튼체인(Waltonchain)



<한국코인(김치코인)>

-엠블(MVL)

-밀크(MLK)

- 아이콘(ICON)

- 블루웨일(Bluewhale)

- 위블락(WeBloc)

- 보스코인(BOS coin)

- 컬러코인(colorcoin)

- 에이치닥(Hdac)

- 플레이어원(Playerone)

- 메디블록(Mediblock)

- 알파콘(Alphacon)

- 애스톤(Aston)

- 모파스(MoFAS)


- 팝체인(Popchain)

- 인슈어리움(ISR)

- 인코디움(incodium)

- 모스트코인(MostCoin)

여기까지 알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여기 나오는 코인들은 아주 마이너 까지는 아니고

준 메이저 코인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제 섹터 별로 코인에 대해 알아보고 

코인 거래소 종류,

코인 공부하는 법,

코인 공부 사이트 등을 소개하겠다.